본문 바로가기

산행/- 영남

[포록산~동망산] 소나무 갈비의 푹신한 등산 길

 * 2013. 2. 3

 * 거제도 오망천교~포록산~동망산~전망바위~동망산 봉수대~KT수련원

 * 마눌과 둘이서

 

 이제는 높은 산도 가기 실타.

 그렇다고 집에 있을 라니 갑갑하고

 야간근무 마치고 바로 거제도로 달려간다.

 

 거제도는 언제 가봤는지 기억이 없다.

 아주 오래전 해금강 유람선 타던 기억뿐이다.

 

 거가대교를 건너 거제도에서 걷기 좋은 야트막한 야산 하나 잡고 걸어가니 이게 왠~~~

 등산길 내내 소나무 숲속을 걷는 아주 좋은 등산길이다.

 

 등산을 끝내고도 추가로 보너스가 기다린다.

 여기서 멀지 않은 곳에 있는 해금강의 신선대와 바람의 언덕을 둘러보고

 거제도에서 유명한 멍게 비빔밥으로 마무리 한다.

 

 

 

거제도로 가기 전 휴게소에서 찍은 사진이다.

날이 흐려서 시야가 맑지 못하다.

CPL필터를 끼워서 그나마 선명해졌다.

 

 

요즘 들어 나보다 더 외출을 즐기는 눈치다.

여태 것 나만 혼자 산으로 쌔가 빠지게 돌아 다녔는데

이제는 마눌과 다녀야겠다.

 

 

 

오망천교 근처에 주차를 하고나니 산악회 버스 한대가 와서 단체 산객을 내려놓는다.

먼저 앞지러서 올라갈까 하다가 느긋한 게 좋아서

단체 산객이 다 올라 간 후 여유를 가지고 올라간다. 

 

 

천천히 올라가도 50대 후반의 단체 산객들이 쉽게 속도를 내지 않으니

산행중에 수시로 만나게 된다.

 

 

등산로는 걷기 좋게 소나무 갈비로 덮여

걷는 내내 양탄자를 밝고 가는 기분이다.

 

 

동네야산 치고는 등산로 정비도 잘되어 있고

쑥쑥 자란 소나무의 향기까지 맡으며 걷는 좋은 길이다.

 

 

 

앙증맞은 정상석이 있는 포록산에 올라서면 바다를 볼 수 있는 조망이 열린다.

 

 

산세가 사슴을 끌어안고 있는 형상이라 포록산이라 한다.

 

 

포록산에서 동망산까지는 능선을 타고 계속 가면된다.

이 능선길도 소나무 터널로 되어 있어서

산길이 끝날 때까지 소나무향기에 취해 버릴까 걱정이지만

지금 겨울철이라 그리 향기는 나지 않는 것 같다.

 

 

나도 포록산 정상석을 기념 삼아 한 장 남긴다.

 

 

포록산 정상에서 바다를 시원스레 조망을 하며 여유를 즐긴다.

 

 

 

 

 

 

포록산 정상에서 조금 내려서니 앞서가는 단체산객을 다시 만난다.

50대 후반의 사람들이라 자갈치 시장에 온 듯

갑자기 숲속이 시끄러워졌다.

 

조용하게 걷는 것도 마음대로 되지 않고.......

하여간 속도를 최대한 늦추어 걸어간다.

 

 

이곳 전체가 소나무가 빽빽이 심어져 있는데

소나무재선충이 이곳을 힙쓸고 지나간다.

걷는 도중 죽은 소나무를 잘라내는 기계톱의 소리도 가금씩 들리는 듯하다.

 

 

 

펑퍼짐한 동망산에는 단체 산객들이 많이 앉아 있어서

재빨리 자리를 피하고 먼저 앞서 나간다.

 

 

(가지가 이상하게 뻗은 소나무)

 

 

동망산에서 조금 내려서면 두 갈래의 길 중

바위 전망대로 올라선다.

포록산~동망산 코스중 전망이 제일 좋은 곳인데

나는 여기서 커피도 한잔 하면서 조망을 감상하며 보낸다.

 

 

전망대 맞은편 거제도 남쪽의 명산인

노자산과 마늘바위, 가라산이 눈에 들어온다.

 

 

 

율포만과 율포리 마을이다.

 

 

오른쪽 끝의 망산도 눈에 들어오고......

 

앞으로 비싼 거가대교 통행료를 많이 지불해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마눌은 전망바위에서 커피 한잔으로 망중한을 보내고 있다.

 

 

 

하산길

마눌의 발가락이 좋지 않아 하산이 끝날 때 까지 짜증을 부린다.

 

 

평소 발가락이 약해 산을 멀리 했었는데

하산길의 대책을 세워야겠다.

 

하산길에만 스포츠샌들로 신고 내려가면 어떨지??

 

 

봉수대의 흔적이 있는 동망산이다

 

(봉수대의 흔적)

 

 

 

(kt 거제 수련원)

 

kt수련원앞에서 버스를 기다려 차량이 있는곳까지 4시 30분 버스를 타고 간다.

 

가베리 kt수련원 앞에서~고현 간 버스 시간은

...오후 1시 40분, 2시 45분,  4시 30분,  6시 45분 등

 

 

차량을 회수하여 시간이 늦었지만 해금강 신선대와 바람의 언덕을 둘러본다.

 

 

 

(신선대 가는 길)

 

 

 

 

 

 

 

(신선대 뒷편의 바람의 언덕)

 

해가 떨어지는 시점이라 사람들이 빠져 나가고 별로 없다.

낮에 왔으면 물 반, 사람반 이었을텐데

저녁에 오니 다행이다.

 

 

 

 

 

 

 

 

 

 

 

돌아오는 길

멍게 비빔밥으로 배고픔을 마무리 하고

다음 산행을 위해 여성용 샌들을 미리 인터넷으로 구입한다.

 

발가락도 사람 잘못 만나면 고생 이지만

샌들을 신을 수 없는 겨울은 어찌 할꼬~~~

 

그냥 둘이 같이 둘레길이나 그런 길을 걸을까보다.

훈련 좀 시켜 텐트 들고 야영산행은 일찌감치 포기해야겠다.

 

(코스)